
📌 상속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로부터 멤버 변수와 멤버 메서드를 물려받는 것을 말한다. 부모 클래스에게서 상속받은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기능을 확장(오버 라이딩)할 수 있다. 클래스 내부의 메서드가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추상 메서드인 경우 추상 클래스라고 하며, 이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메서드를 구현해주어야 한다. 📍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로부터 멤버를 상속받는다. 📍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를 재 정의하는 것을 오버 라이딩이라고 한다. 📍 부모 클래스의 멤버를 사용하려면 super(). 멤버명으로 접근할 수 있다. 📍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 멤버에는 당연히 접근 불가능. 📍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빈껍데기 메서드를 추상 메서드라고 한다. 📍 추상 메서드를 가..

📌 특수 메서드 (매직 메서드) 클래스 내부에 선언할 수 있는 특수 메서드를 말한다. 파이썬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산자나 함수를 오버 로딩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연산자나 함수를 오버 로딩하므로, 특수 메서드는 이미 정해진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 특수 메서드는 메서드명 전 후로 이중 언더바를 가지고 있다 (예) __lt__() 📍 이미 파이썬에서 정의되어 사용되고 있는 연산자나 함수를 클래스 내부에 오버로딩한다. 📍 기존에 사용 중인 연산자나 함수를 오버 로딩하므로 이미 정해진 이름을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 📍 메서드 호출 시에는 파이썬에서 통용되는 연산자와 함수명으로 호출한다. 참고. WikiDocs - 왕초보를 위한 파이썬 / WikiDoc - 레벨업 파이썬 👉 특수 메서드의 종류 __d..

📌 객체와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에서 사용되는 속성(자료구조)과 메서드를 정의해 묶어준 것을 의미한다. 클래스가 설계도, 객체는 그 설계를 바탕으로 실체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객체는 인스턴스라고도 부른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복잡한 문제를 잘게 나누어 객체로 만들고, 객체를 조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를 처리하는 데에 유용하다. 📍 객체 : 클래스로부터 생성되어 클래스의 속성(자료구조)과 메서드를 가진다 📍 클래스 : 객체에서 사용될 속성과 메소드를 정의한 틀 📍 속성 : 클래스와 객체에서 사용되는 변수(자료구조). 멤버 변수라고 부른다. 📍 메서드 : 클래스와 객체에서 사용되는 함수. 멤버 메서드라고 부른다. (매개변수 self를 필수로 가진다) 📍 클래스 내부의 함수는 일반 ..

📌 내장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만 정리(사전 순으로 정리) 해보고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쓰자. 참고 : 파이썬 코딩도장, 점프 투 파이썬 함수명 설명 oct(정수) 정수를 16진수 문자열로 바꾸어 반환 open(파일이름, 파일모드) 지정된 파일을 열어, 파일 모드로 인코딩하여 파일 객체를 반환 - 파일 모드: w (쓰기) , r (읽기) , a (추가) , b (바이너리모드) ord()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 - 반대되는 기능을 하는 함수로 chr()가 있다 pow(n1, n2) n1 을 n2만큼 제곱한 결과를 반환 range( start, end, step ) 인수로 입력한 범위 값을 반복 가능한 객체로 만..

📌 내장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만 정리(사전 순으로 정리) 해보고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쓰자. 참고 : 파이썬 코딩도장, 점프 투 파이썬 함수명 설명 filter(함수명,시퀀스) 시퀀스의 요소를 함수의 인수로 하나하나 전달해 조건에 맞는 요소만 반환 format(값, 포맷스팩) 값을 지정한 포맷 스펙에 맞추어 문자열로 만든다 (예) format(1000, ',') → 1,000 hex(n) 10진법 정수를 16진수로 반환 id(객체) 객체를 입력받아 객체의 고유 주소(레퍼런스)를 반환 input()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 int(n1) 정수가 아닌 데이터 형의 값을 정수 형태로 반환 int(n1, n2) n2진법으로..

📌 내장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만 정리(사전 순으로 정리) 해보고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쓰자. 참고 : 파이썬 코딩도장, 점프 투 파이썬 함수명 설명 abs(값) 절대값을 반환 all(시퀀스) 시퀀스의 요소가 모두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 - 요소가 0이 아니면 True, 0이면 False any(시퀀스) 시퀀스의 요소가 하나라도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 - 요소가 0이 아니면 True, 0이면 False bin(정수) 정수를 2진수 문자열로 바꾸어 반환 bool(값) boolean으로 형변환 - 0이 아닌 값이면 True - 0, None, 비어있는 객체는 False chr(코드값) 아스키..

📌 내장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만 정리(사전 순으로 정리) 해보고 필요하면 그때 그때 찾아서 쓰면된다. 실습 예제는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자.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사용하기(a-e)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사용하기(f-m)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사용하기(o-z) 참고 : 파이썬 코딩도장, 점프 투 파이썬 함수명 설명 abs(값) 절대값을 반환 all(시퀀스) 시퀀스의 요소가 모두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 - 요소가 0이 아니면 True, 0이면 False any(시퀀스) 시퀀스의 요소가 하나라도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 - 요소가 0이 아니면 True..

문제.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

문제. 카지노에서 제일 인기 있는 게임 블랙잭의 규칙은 상당히 쉽다. 카드의 합이 21을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카드의 합을 최대한 크게 만드는 게임이다. 블랙잭은 카지노마다 다양한 규정이 있다. 한국 최고의 블랙잭 고수 김정인은 새로운 블랙잭 규칙을 만들어 상근, 창영이와 게임하려고 한다. 김정인 버전의 블랙잭에서 각 카드에는 양의 정수가 쓰여 있다. 그 다음, 딜러는 N장의 카드를 모두 숫자가 보이도록 바닥에 놓는다. 그런 후에 딜러는 숫자 M을 크게 외친다. 이제 플레이어는 제한된 시간 안에 N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골라야 한다. 블랙잭 변형 게임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고른 카드의 합은 M을 넘지 않으면서 M과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야 한다. N장의 카드에 써져 있는 숫자가 주어졌을 때,..

📌 시퀀스 자료형 (sequence type)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문자열, range는 데이터가 연속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파이썬에서는 이처럼 연속적으로 이어진 데이터를 묶는 자료형을 시퀀스 자료형(sequence types)이라고 부른다. 📍 시퀀스 자료형은 공통된 동작과 기능을 제공한다. 📍 시퀀스 자료형으로 만든 객체를 시퀀스 객체라고 부르며, 객체 안에 저장된 값을 요소라고 부른다. 📍 앞서 다루었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와 겹치는 내용이 있을 수 있다. 👉 검색 : 특정 값이 있는 지 확인하기 1. 값 in 시퀀스객체 num = [ 10, 20, 'hi', 4, 5 ] if(10 in num) : print('10 in num') else : print('10 not 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