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내장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import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만 정리(사전 순으로 정리) 해보고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쓰자.
함수명 | 설명 |
oct(정수) | 정수를 16진수 문자열로 바꾸어 반환 |
open(파일이름, 파일모드) | 지정된 파일을 열어, 파일 모드로 인코딩하여 파일 객체를 반환 - 파일 모드: w (쓰기) , r (읽기) , a (추가) , b (바이너리모드) |
ord() |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 - 반대되는 기능을 하는 함수로 chr()가 있다 |
pow(n1, n2) | n1 을 n2만큼 제곱한 결과를 반환 |
range( start, end, step ) | 인수로 입력한 범위 값을 반복 가능한 객체로 만들어 반환. |
reversed(시퀀스) | 시퀀스의 요소의 순서를 뒤집어 반환 (형변환 필요) |
round(값) | 값을 반올림 |
set(시퀀스) | 반복 가능한 객체로 set를 만들어 반환 |
sorted(시퀀스) | 시퀀스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반환 reverse = True 를 지정하면 내림차순 정렬 가능 |
str() | 문자열로 형변환 |
sum(시퀀스) | 입력받은 시퀀스의 모든 요소의 합을 반환 |
tuple() | tuple로 형변환 |
type(객체) | 객체의 데이터형을 반환 |
zip(시퀀스1, 시퀀스2 .. ) | 길이가 동일한 시퀀스를 index별로 튜플 형태로 묶어준다 (예) list ( zip ( [1,2,3], [10,20,30] ) ) → [ ( 1, 10 ), ( 2, 20 ), ( 3, 30 ) ] |
👉 oct( )
a = oct(8)
b = oct(34)
c = oct(12345)
print(a) #0o10
print(b) #0o42
print(c) #0o30071
✔ 인수로 전달한 값을 16진수 형태의 문자열로 반환한다.
👉 open(파일명, 파일 모드)
#추가 예정
mode | 설명 |
w | 쓰기 모드로 파일 열기 |
r | 읽기 모드로 파일 열기 |
a | 추가 모드로 파일 열기 |
b |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 열기 |
✔ 나중에 파일 사용하는 거 공부하고 추가 예정
👉 ord( )
print(ord('a')) #97
print(ord('A')) #65
✔ 문자를 입력받아 그 코드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출력한다.
✔ 반대로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로는 chr()가 있다.
👉 pow( )
a = 2
b = 3
print(pow(a,b)) #8
✔ a의 b 제곱한 결괏값을 반환한다.
👉 range( )
a = 10
b = 0
c = ''
d = None
print(bool(a)) #True
print(bool(b)) #False
print(bool(c)) #False
print(bool(d)) #False
✔ range는 인자를 최대 3개까지 받을 수 있다. 순서대로 start, end, step을 의미한다.
✔ 인수가 하나인 경우 end로 인식하고 0부터 시작한다.
👉 reversed( )
a = [1,2,3,4,5]
b = list(reversed(a))
print(a)
print(b)
✔ 시퀀스에서 요소의 순서를 뒤집어서 반환한다.
👉 round( )
print(round(3.14)) #3
print(round(3.84)) #4
✔ 값을 반올림하여 반환한다.
👉 set( )
l = [1,2,3,4,5]
l = set(l)
print(type(l)) #<class 'set'>
✔ set으로 형 변환하는 함수이다
s = {10,20,30,30,40}
s.add(50) #요소를 1개만 추가
s.update({50,60,70}) #요소를 여러개 추가
print(s) #{70, 40, 10, 50, 20, 60, 30}
✔ set에 요소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add나 update 함수를 사용한다.
✔ set은 말하자면 집합과 같다. 요소를 순서대로 정의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에 의존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 집합과 같으므로, 중복 값을 하나만 가지고 있게 된다. 다른 시퀀스를 set으로 형 변환하면 중복 값은 하나만 남는다.
l = [ 1,2,3,42,5,4,2 ]
t = (1,2,3,1,2,3,4,5)
dic = {1:'one',2:'two',3:'three'}
print(set(l))
print(set(t))
print(set(dic))
✔ 시퀀스에 사용하면 값 없이 키만 남은 딕셔너리 형태로 반환한다.
✔ 이 때 중복값은 하나만 남는다.
s = {10,20,30,30,40}
s.remove(40) #요소를 1개만 삭제
print(s) #{10, 20, 30}
s.clear() #요소를 모두 삭제
print(s) #set()
✔ set에 요소를 삭제할 때에 remove나 clear함수를 사용하자.
a = {1,2,3}
b = {3,4,5}
print(a&b) #교집합 {3}
print(a|b) #합집합 {1, 2, 3, 4, 5}
print(a-b) #차집합 {1, 2}
✔ set끼리 연산자 & | - 를 사용해서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을 구할 수 있다.
👉 sorted( )
l = [10, 3, 7, 20, 30]
a = sorted(l)
b = sorted(l, reverse=True)
print(a) #[3, 7, 10, 20, 30]
print(b) #[30, 20, 10, 7, 3]
✔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반환하는 함수.
✔ reverse=True를 지정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반환한다.
👉 str( )
a = str(12345)
b = str(3.14)
print(type(a)) #<class 'str'>
print(type(b)) #<class 'str'>
✔ 문자열로 형 변환하는 함수.
👉 sum(시퀀스)
l = [10,20,30]
print(sum(l)) #60
✔ 시퀀스의 모든 요소 값의 합을 반환한다.
👉 tuple( )
l = [10,20,30]
t = tuple(l)
print(type(t)) #<class 'tuple'>
✔ tuple로 형변환하는 함수
👉 type( )
print(type(1)) # <class 'int'>
print(type('str')) # <class 'str'>
print(type(3.14)) # <class 'float'>
print(type([10,20,30])) # <class 'list'>
print(type((10,20,30))) # <class 'tuple'>
print(type({1:'one', 2:'two'})) # <class 'dict'>
✔ 인자로 입력받은 데이터의 형태를 반환한다.
👉 zip( )
a = [1,2,3]
b = ('one','two','three')
c = zip(a,b)
print(type(c)) #<class 'zip'>
d = list(c)
print(type(d)) #<class 'list'>
print(d) #[(1, 'one'), (2, 'two'), (3, 'three')]
✔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같은 index끼리 tuple의 형태로 묶어준다.
✔ 반환 형태는 zip이므로, 다른 데이터형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형 변환이 필요하다.
[참고] 엘리스 트랙-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길벗-파이썬 코딩 도장 / 엘리스 트랙 - 예제 중심의 파이썬 입문 / 위키백과
'BackEnd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05-2. 특수 메서드 (매직 메서드) (0) | 2021.03.23 |
---|---|
[파이썬 기초] 05-1. 객체와 클래스 (0) | 2021.03.23 |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사용하기(f-m) (0) | 2021.03.22 |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사용하기(a-e) (0) | 2021.03.22 |
[파이썬 기초] 03-1. 내장 함수 정리 (0) | 2021.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