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는 사칙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가 있다.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해당 사항을 중심적으로 살펴보자.
1. 사칙 연산자 + - * /
✔ 곱셈과 나눗셈 연산자가 덧셈, 뺄셈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 피연산자가 정수형인 경우, 0으로 나눌 수 없다.
a = 5 / 3 ; // 1
b = 5 % 3 ; // 2
c = 5 / 3.0 ; // 1.666667
✔ 피연산자가 정수인 경우 나눗셈 연산자는 나머지를 반환하지 않는다.
✔ 몫만 반환하므로 나머지를 알고 싶다면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한다.
✔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실수라면 자동 형 변환(산술 변환)되어 나눗셈 연산의 결과는 실수를 반환한다.
'A' - 'B'; //1
'A' + 'B'; //131
✔ 문자도 사칙 연산이 가능하다. 실제로 유니코드(부호가 없는 정수)로 바뀌어 저장되므로 연산이 가능하다.
2. 나머지 연산자 %
✔ 좌하을 우항으로 나누고 나머지값을 결과로 반환하며 피연산자로 정수만 허용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10;
if(num%2==1) {
System.out.println("홀수");
}else {
System.out.println("짝수");
}
}
[참고] 자바의 정석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03] 5. 기타 연산자 (0) | 2021.02.28 |
---|---|
[Ch.03] 4. 비교 연산자/논리 연산자 (0) | 2021.02.28 |
[Ch.03] 2. 단항 연산자 (0) | 2021.02.28 |
[Ch.03] 1. 연산자 (0) | 2021.02.28 |
[Ch.02] 형식화 출력 함수 printf() / 형변환 (1) | 2021.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