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실전문제 01) 위에서 아래로

하나의 수열에는 다양한 수가 존재한다. 수는 크기에 상관없이 나열되어 있다

이 수열의 수들을 큰수부터 작은 수의 순서로 정렬해야한다. 수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

 

✏️ 입력 조건

- 첫번째 줄에 수열에 속해 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 두번째 줄부터 N+1 번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입력된다. 수의 범위는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입력 예시 

    3

    15

    27

    12

   

 

🖨 출력 조건

- 입력으로 주어진 수열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결과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 동일한 수의 순서는 자유롭게 출력해도 된다

- 출력 예시

    27  15  12

 

💡 풀이 방법

- 파이썬의 sorted() 함수를 사용해 배열의 요소를 정렬한 뒤 순서대로 출력한다

 

n = int(input())
arr = []

for i in range(n):
    arr.append(int(input()))

arr = sorted(arr, reverse = True)

for i in arr:
    print(i, end=' ')

 


실전문제(2) 성적이 낮은 순서로 학생 출력하기

N명의 학생 정보가 있다. 학생 정보는 학생의 이름과 학생의 성적으로 구분된다

각 학생의 이름과 성적 정보가 주어졌을 때 성적이 낮은 순으로 학생의 이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조건

- 첫번째 줄에 학생의 수 N이 입력된다

- 두번째 줄부터 N+1 번째 줄에는 학생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과 학생의 성적을 나타내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입력 예시

    2 

    홍길동 95

    이순신 77

 

 

🖨 출력 조건

- 모든 학생의 이름을 성적이 낮은 순으로 출력한다. 성적이 동일한 학생의 경우 출력 순서는 상관없다

출력 예시

    이순신  홍길동

 

💡 풀이 방법

- 학생의 이름과 학생의 성적을 입력받아 딕셔너리로 저장한다

- 학생의 성적을 key값으로, 학생의 이름을 value로 저장한다 

- 학생의 성적, key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출력한다

- 책에서의 방법과는 조금 다르게 풀이해봤다

 

n = int(input())
score = {}

for i in range(n):
    str = input().split()
    score[str[1]] = str[0]
    
# value 값만 뽑아서 정렬
score = sorted(score.items())

# 정렬한 순서대로 출력
for i in range(n):
    print(score[i][1], end=" ")

 


실전문제(3) 두 배열의 원소 교체

동빈이는 두 개의 배열 A와 B를 가지고 있다. 두 배열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열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이다

동빈이는 최대 K 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바꿔치기 연산이란 배열 A에 있는 원소 하나와 배열 B에 있는 원소 하나를 골라서 두 원소를 서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동빈이의 최종 목표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분은 동빈이를 도와야한다. N, K, 그리고 배열 A와 B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최대 K 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하여 만들 수 있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예를 들어 N = 5, K = 3이고, 배열 A와 B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자

  • 배열 A = [1, 2, 5, 4, 3]
  • 배열 B = [5, 5, 6, 6, 5]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세 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 연산 1) 배열 A의 원소 '1'과 배열 B의 원소 '6'을 바꾸기
  • 연산 2) 배열 A의 원소 '2'와 배열 B의 원소 '6'을 바꾸기
  • 연산 3) 배열 A의 원소 '3'과 배열 B의 원소 '5'를 바꾸기

세 번의 연산 이후 배열 A와 배열 B의 상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 배열 A = [6, 6, 5, 4, 5]
  • 배열 B = [3, 5, 1, 2, 5]

이때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26이 되며, 이보다 더 합을 크게 만들 수는 없다

 

 

✏️ 입력 조건

- 첫 번째 줄: N, K 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1 <= N <= 100,000, 0 <= K <= N)

- 두 번째 줄: 배열 A의 원소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원소 a < 10,000,000인 자연수)

- 세 번째 줄: 배열 B의 원소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원소 b < 10,000,000인 자연수)

입력 예시

    5  3

    1  2  5  4  3

    5  5  6  6  5

 

 

🖨 출력 조건

- 최대 K번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해서 가장 최대의 합을 갖는 A의 모든 원소 값의 합을 출력

출력 예시

    26

 

💡 풀이 방법

- 배열 A는 오름차순으로, 배열 B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index = 0부터 index = K-1 까지의 값을 바꿔치기 연산한다 

- 만약 배열A의 값이 배열B의 값보다 작으면 바꿔치기 연산을 할 경우 합이 최대 합이 아니므로 조건문으로 확인한다

- 배열 A의 합을 출력한다

 

n, k = map(int, input().split())
arrA = list(map(int, input().split()))
arrB = list(map(int, input().split()))

arrA.sort()
arrB.sort(reverse = True)

for i in range(k):
  if arrA[i] < arrB[i]:
  	arrA[i], arrB[i] = arrB[i], arrA[i]
  else:
  	break
    
print(sum(arrA))

 

 

 

 

 

댓글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