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839. 지능형 기차

최근에 개발된 지능형 기차가 1번역(출발역)부터 4번역(종착역)까지 4개의 정차역이 있는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이 기차에는 타거나 내리는 사람 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가는 도중 기차 안에 사람이 가장 많을 때의 사람 수를 계산하려고 한다. 단, 이 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질서 의식이 투철하여, 역에서 기차에 탈 때, 내릴 사람이 모두 내린 후에 기차에 탄다고 가정한다.

 

위와 같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기차 안에 사람이 가장 많은 때는 2번역에서 3명의 사람이 기차에서 내리고, 13명의 사람이 기차에 탔을 때로, 총 42명의 사람이 기차 안에 있다. 이 기차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서 운행된다고 가정한다.

  1. 기차는 역 번호 순서대로 운행한다.
  2. 출발역에서 내린 사람 수와 종착역에서 탄 사람 수는 0이다.
  3. 각 역에서 현재 기차에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이 내리는 경우는 없다.
  4. 기차의 정원은 최대 10,000명이고, 정원을 초과하여 타는 경우는 없다.

4개의 역에 대해 기차에서 내린 사람 수와 탄 사람 수가 주어졌을 때, 기차에 사람이 가장 많을 때의 사람 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각 역에서 내린 사람 수와 탄 사람 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역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최대 사람 수를 출력한다.  

 

✍️ 방법.

첫번째 역에서는 사람들이 무조건 기차에 타고, 내리는 사람이 없다

두번째, 세번째 역에서는 유동적이고, 마지막 역에서는 모든 사람이 기차에서 내린다.

 

(첫번째 입력값/내리는사람을 n1, 두번째 입력값/타는 사람은 n2)

첫번째 역은 기차의 출발지점이므로 n1은 항상 0이고, n2만큼의 인원을 가지고 출발한다. 두번째 역첫번째역의 인원-n1+n2 만큼의 인원을 갖는다. 마지막 역에서는 모든 사람이 내리게 되는데, 결국 마지막 역의 n1은 세번째 역의 총 인원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 첫번째 역의 총 인원 = n2

- 두번째 역의 총 인원 = 첫번째 역 인원 - n1 + n2

- 세번째 역의 총 인원 = 마지막 역의 n1

- 마지막 역의 총 인원 = 0

 

우리는 첫번째역의 n2, 두번째역의 총 인원(첫번째 역인원-n1+n2), 마지막역의 n1(세번째 역의 총인원) 을 비교해서 가장 큰 값을 반환하면 된다

 

 

✍️  JAVA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inputCnt = 8;
		int[] sum = new int[inputCnt/2];
		int idx = 0;
		
		for(int i = 0; i < inputCnt; i+=2) {
			sum[idx++] = (sc.nextInt()*-1) + sc.nextInt();
		}
		
		System.out.println(sum[0]+sum[1] >= sum[3]*-1 ? sum[0]+sum[1] : sum[3]*-1);
	}
}

 

✍️  Python 

sum = []

for i in range(0, 4):
  n = input().split( )
  sum.append((int(n[0])*-1)+int(n[1]))

if(sum[0]+sum[1] >= sum[3]*-1): print(sum[0]+sum[1])
else: print(sum[3]*-1)

 

 

댓글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Total
Today
Yesterday